본문 바로가기

knowledge/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CH01-4. 디버깅, 빌드

디버깅

프로그램에서 문제를 찾아 제거하는 작업.

포로그램을 실행하며 작동을 확인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개발자들은 코드를 입력하는 일보다도 작성한 코드를 계속해서 실행하고  테스트하면서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기존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 살펴보는 디버깅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빌드

프로그래밍한 소스 코드를 묶어 실행 가능한 파일을 만드는 것.

  • 빌드 번호:  출시되기 전 프로그램 버전. 테스트 단계에서 수정 및 업데이트 되는 내용을 빌드 번호로 구분.
    • 디버그 빌드: 오류나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빌드하는 것. 다소 무겁고 느림.
    • 릴리스 빌드: 모든 개발이 끝난 후 배포하기 직전 점검하는 베타 버전. 가볍고 빠름.
  • 버전 정보: 출시할 때 재품마다 매기는 번호. 출시 후 수정이 불가능한 정식 버전.

 

배포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 배치하는 것.

 

유지 보수

제품 출시 이후 버그 대응 및 기능 업데이트 등의 후속 작업.

유지 관리가 수월하도록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개발해야하기 때문에 기획 단계부터 준비해야 할 요소이다.

 

리팩토링

기능을 수정하지 않으면서 코드의 품질을 높이는 작업.

 

<코드 리뷰의 장점>

- 코드 리뷰: 서로의 코드를 확인하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과정.

  1. 작성자가 발견하지 못한 오류를 동료가 발견하여 사전에 문제 방지.
  2. 미숙한 부분 지도 및 실전 지식 습득.
  3. 용어를 통일하여 가독성과 일관성.
  • 코딩 컨벤션: 팀 또는 회사 내에서 정한 코딩 스타일 규약.

 

문서화

코드를 전반적으로 요약해서 설명하고, 각 기능을 어떤 코드에서 어떻게 사용하면 되는지 등을 정리하는 작업.

  • 주석: 코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코드 설명을 위한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