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브라우저에 저장하여 웹사이트 이용을 편리하게 해주는 것.
제 3자가 조회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 상 민감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세션
서버에 로그인을 하면, 서버는 세션 아이디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사용자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세션 아이디를 쿠키로 저장한 다음 요청을 할 때마다 함께 전달한다. 서버가 요청을 받으면 메모리에 저장된 세션 아이디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를 확인한다.
- 장점: 사용자의 상태를 원하는대로 통제 가능
- 단점: 메모리에 사용자의 상태를 보관하고 있어야 함.
토큰
해당 서버만이 만들 수 있는 토큰을 발급하여, 상태를 저장하지 않고 토큰을 검증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 장점: 상태를 따로 기억해두지 않아도 됨.
- 단점: 사용자의 상태는 토큰이 만료될 때까지 제어가 불가능함.
캐시 cache
전송 받은 데이터를 저장해놨다가 다시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서버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지 않아도 되는 기술.
※ 쿠키와의 공통점: 정보를 저장하여 재활용하는 기술
※ 쿠키와의 차이점: 쿠키는 사용자의 수고를 덜어주는 데 목적을 두고, 캐시는 데이터의 전송량을 줄이고 서비스 이용 속도를 높이는 데 목적을 둔다.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지리적으로 분산된 여러 캐시 서버를 이용하여 웹 콘텐츠를 사용자와 가까운 캐시 서버에서 전송하여 전송 속도를 높이는 서비스.
'knowledge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CH02-5.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0) | 2023.02.20 |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CH2-4.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0) | 2023.01.23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CH02-2. 웹사이트 (0) | 2023.01.17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CH02-1. 서버, 클라우드 컴퓨팅 (0) | 2023.01.16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0) |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