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티브 앱
안드로이드 버전과 iOS버전과 같은 운영체제에 맞는 앱을 각각 개발하는 방법.
- 장점: 작동하는 기기에 최적화된 형태로 개발되기 때문에 각 스마트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하고 성능 또한 최대치로 사용할 수 있다.
- 단점: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스토어의 심사를 각각 받아야하기 때문에 앱을 공개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까다롭다. 컴퓨터로는 접속이 불가능하다.
크로스 플랫폼
같은 소스 코드로 안드로이드 버전과 iOS 버전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는 앱을 만드는 개발 도구.
- 장점: 네이티브 앱으로 제작하는 것보다 더 쉽고 적은 자원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 단점: 성능의 한계가 있고, 기기의 활용도 떨어진다. 업데이트할 때마다 스토어의 심사를 각각 받아야 한다.
웹 앱
반응형 또는 적응형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로 만든 웹사이트. 앱 마켓에서 다운로드해 설치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아니라 브라우저에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앱과 비슷한 UI/UX를 지원하는 웹사이트.
- 장점: 웹 개발만으로 모바일용 앱을 만들 수 있다. 플랫폼 제작 비용과 기간이 합리적이다. 버전 출시에 제한이 없다.
- 단점: 브라우저로 할 수 있는 기능에 한정된다. 활용도와 성능 면에서 가장 떨어진다.
※하이브리드 앱 또는 PWA의 형태로 보완되어 제작됨.※
하이브리드 앱
앱의 대다수 콘텐츠를 웹사이트로 제공하면서 추가로 네이티브 앱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까지 제공하는 앱
- 원리: 네이티브 또는 크로스 플랫폼 방식으로 앱을 만들되 화면 안에 요소를 직접 만들지 않고, 브라우저 역할을 하는 웹뷰라는 요소를 만들어 대신 웹 화면을 띄움.
PWA
- Progressive Web Apps, 프로그레시브 웹 앱
웹 앱이지만, 아이콘 설치 및 푸시 알람 등 접근성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스마트폰 기능까지 활용이 가능해지고 있다.
- 단점: 브러우저마다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차이가 있다.
아직은 웹 앱을 편리하게 제공하는 방안일 뿐, 앱을 대체하는 독립된 형태의 선택지로는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knowledge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CH02-5.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0) | 2023.02.20 |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CH02-3. 데이터 저장 (0) | 2023.01.22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CH02-2. 웹사이트 (0) | 2023.01.17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CH02-1. 서버, 클라우드 컴퓨팅 (0) | 2023.01.16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0) | 2023.01.16 |